2025/05/22 3

정밀도와 허용오차: 대상자 수 산출의 타당성 설명

임상연구나 관찰연구를 설계할 때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이것입니다:“이 연구에서 계획한 대상자 수(n)는 과연 충분한가?”“이 표본 수로 연구 결과를 믿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가?”이때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개념이 정밀도(precision)와 허용오차(margin of error)입니다.🔍 정밀도와 허용오차: 같은 말일까?많은 분들이 "정밀도"와 "허용오차"를 같은 뜻으로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관점과 표현 방식이 다릅니다.개념정밀도 (Precision)허용오차 (Margin of Error) 정의추정값의 불확실성 정도를 나타냄 (작을수록 정밀)추정값이 모집단 값에서 벗어날 수 있는 최대 오차기반 수식정밀도 ≈ 1표준오차(SEM)\frac{1}{\text{표준오차(SEM)}}표준오..

연관성 vs 인과관계 – 통계와 임상에서의 비교

Causal Inference(인과 추론)과 Association(연관성)은 의학 및 보건연구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지만, 통계적 해석과 임상적 해석에서 둘은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각각의 차이를 통계적 관점과 임상적 관점에서 정리하여 비교하겠습니다.🔹 1. 정의 및 개념향목Association (연관성) Causal Inference (인과추론) 정의두 변수 간의 통계적 관련성. 한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와 함께 변함을 의미한 변수가 다른 변수의 변화를 유발함을 추론관계"함께 변한다""하나가 다른 하나를 변화시킨다"예시흡연자와 폐암의 발생률이 더 높다 (연관성)흡연이 폐암을 일으킨다 (인과관계) 🔹 2. 통계적 차이점항목Association (연관성)Causal Inference ..

관찰연구로 임상시험을 대신할 수 있을까?– '목표 임상시험 모사(Target Trial Emulation)'의 개념과 사례

의학 및 보건의료 연구에서 무작위대조임상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은 인과관계를 평가하는 가장 신뢰도 높은 연구 설계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 임상시험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에는 윤리적, 시간적, 재정적 제약이 따르기 마련입니다.그래서 최근에는 관찰자료(실세계자료, RWD)를 활용하여 마치 임상시험처럼 설계하고 분석하는 방법, 즉 ‘목표 임상시험 모사(Target Trial Emulation, 이하 TTE)’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목표 임상시험 모사란?‘목표 임상시험 모사(Target Trial Emulation)’란 말 그대로,이상적인 임상시험(target trial)을 먼저 가정하고, 이를 관찰자료에서 가능한 한 유사하게 설계하고 분석하..